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금융소비자 연맹 선정 '좋은 은행 1위'에 국민은행 선정, 기준은?

by 교양중년 개복치씨 2022. 5. 12.
반응형

 

금융소비자연맹은 은행의 안정성(40%)과 소비자성(30%), 건전성(20%), 수익성(10%) 등 4개 부문으로 은행을 평가해, '2022년 좋은 은행'의 순위를 선정했는데 국민은행이 작년에 카카오뱅크에 밀려 놓쳤던 1위를 재탈완했다. 

 

평가 항목별로 보면 안정성은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 순으로 카카오 뱅크가 앞서갔으나, 소비자성에서 KB국민은행, SC제일은행 순으로 높은 평점을 받았다. 소비자성은 10만 명당 민원 건수와 민원 증감률, 인지와 신뢰도에 관한 설문 조사 등을 토대로 판단하였다. 

 

올해 종합순위로는 작년에 1위를 차지했던 카카오뱅크가 KB국민은행에게 그 1위 자리를 물려주고 2위를 차지했고, NH농협은행이 3위에 올랐다. 최하위인 18위는 SH수협은행이 차지했다. 

 

금융소비자연맹은 "코로나19 여파, 대출 총량 규제 등 영업 환경 악화에도 은행 평가 부문인 안정성, 소비자성, 건전성, 수익성 등 전 부문의 평가 수치가 전년 대비 개선되거나 증가했다"라고 밝혔다.

 

2021년 소비자 평가 '좋은 은행' 순위 평가 결과

순위 종합순위 부문별 순위
안정성 소비자성 건전성 수익성
1 카카오(13) 카카오 KB국민 SC제일 KB국민
2 KB국민(1) 한국씨티 신한 한국씨티 부산
3 한국씨티(3) 케이 NH농협 DGB대구 하나

2021년에는 전년 13위에 그쳤던 카카오뱅크가 부동의 1위를 지키던 KB국민은행을 제치고 1위를 차지하는 이변을 낳았었다. 인터넷 전문은행이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시장의 변화를 바로 알 수 있다. 

 

2022년 소비자 평가 '좋은 은행' 순위 평가 결과

 

안정성이 꽤 높은데 나에게는 좀 생소한 케이뱅크에 대해서도 살짝 내용을 첨부해본다. 

케이뱅크란?

KT 등 통신사와 우리은행, NH투자증권 등 20개 주주사가 참여하고 있는, 2017년 4월 3일 문을 연 국내 최초의 인터넷 전문은행.

 

KT가 주도하여 우리은행, NH투자증권, GS리테일, 한화생명 등 20개 주주사가 출자한 국내 최초의 인터넷 전문은행으로, 2017년 4월 3일 영업을 시작하였다. 케이뱅크의 정기예금 금리는 최고 연 2.0%로 은행권 평균인 연 1.44%보다 높은 수준이다. 문자 메시지로 빠른 송금이 가능하다. 인터넷 전문은행의 특성상 24시간 계좌 개설을 할 수 있고, 신용등급이 4~7등급인 자에게 최저 4.19%의 중금리 대출을 해 준다. 
-네이버 지식백과-

 

 

반응형